TIL323 2025.10.29 업무 일지 1. 오늘 어려웠던 것 사용자 입력에 따라 높이 조절 되는 textArea 만들기 useEffect 의 실행 시점, state 의 Batch 업데이트. DOM 조작과 state 의 다른 점. useEffect 의 실행 시점은 모든 batch state 의 업데이트 후, 리액트가 DOM에 변경사항을 모두 반영한 후이다. 그니까 React 의 탈출구이다. State 는 동기적으로, 하나 업데이트되고 DOM에 반영되고 그 다음 업데이트되고가 아니다. 함수 단위로 하나로 모아서 예약을 걸고, 한 번에 업데이트된다. 따라서 같은 setState 를 연달아 두 번 같은 함수 내에서 쓰게 된다면, 맨 마지막에 쓴 값 하나만 반영된다. 아는 것(외운 것)과 써먹을 수 있는 것의 구분. 직접 만들어보고, 비유와 예.. 2025. 10. 29. 2025.10.28 업무일지 1. 오늘 내가 한 것 cursor 커스텀 룰 설정프로젝트 설치. backend, frontend 의존성 설치 컴포넌트 구조 파악 2. 어려웠던 것/예상과 달랐던 것 pnpm workspace 라는 게 있는 줄 몰랐다. pnpm 의 node_modules 경량화를 시키는 방법 pnpm workspace 와 src/frontend src/backend 구조의 차이점 2025. 10. 28. 복잡한 정산을 쉽고 효율적으로 하는 법을 생각해 보았다!(feat. 바보짓) 정말 오랜만의 블로그 글이다..! 오늘은 친구 생일 파티에서 생긴 소동(?) 에 대해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.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. "나", "A", "B" 가 "루피" 의 생일파티에 줄 선물과 케이크를 샀다. 이때 케이크는 B 가 18000원을 주고 구매했고,나는 선물을 40176원을 주고 구매했다. 그럼 각자가 부담해야할 총액은 (18000 + 40176) / 3 = 19392원 이 된다. 그런데 B 가 실수로, 나에게 19392원을 송금해버렸다. B 에게 다시 19392원을 돌려주고 다시 계산하는 방법도 있었으나,나는 한 가지 독특한 방법을 제안한다. 내가 B 에게 18000원을 송금함으로써, 내가 케이크를 구매한 것으로 간주하고, A와 B에게 19392원을 받는다는 방법이었다. 그런데 .. 2025. 5. 23. 2024.02.06 TIL 오늘 3주동안이나 기다렸던.. 모 스타트업 인턴십의 최종 결과가 나왔다. 결과는 아쉽게도 탈락이었다! 이렇게 제대로된 채용 프로세스에서, 서류 합격을 넘어 과제 합격까지 간 다음 최종 면접까지 본 경험이 처음이었는데, 처음부터 멋있게 착 합격했으면 좋았을 걸..ㅎㅎ 뭔가 핏이 맞지 않았던 부분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! 지금 대내외적으로 경제 상황도 안정적이지 않아서 회사가 채용에 소극적일 수도 있고! 떨어진 이유는 알 수 없다. 나는 그저 내 갈 길을 가면 될 뿐! 그래서 사실, 떨어졌을 때 엄청 속상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. 난 내가 하고 싶은 경험들, 내가 좋아하는 경험들을 지금 충분히 잘 쌓아가고 있고 그 과정이 즐거우니까! 그리고 취준은 이제 시작이라, 앞으로 지원할 회사는 참 많다!!ㅎㅎ.. 2025. 2. 6. 라이브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열 접근 타입 에러를 근본적으로 막아보자! 내가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있는, 솝트 메이커스 크루팀 서비스에서 런타임 타입 에러가 발생했다. 덕분에 서비스가 잠깐이지만 먹통이 되는 일이 있었다.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? 홈 화면에 광고 데이터를 불러올 때 기존에 쓰고 있던 코드는, 배열의 0 번째 인덱스에 직접 접근하는 코드였다. meetingAds?.advertisements[0].desktopImageUrl 광고 데이터는 항상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0번째 인덱스에 직접 접근하는 코드를 작성했었다. 그런데 광고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advertisements 가 null 이 되어버렸고, 그에 따라 advertisements[0] 은 undefined 가 되어버렸다. 자바스크립트는 파이썬과 달리, Out of Index 에러는 발생하지 않아,.. 2025. 1. 9. PeerDependency 에러 수정기 인턴으로 근무한 회사 1일차, 내가 맡은 첫 임무는, 기존 분이 하고 계신 작업에서 일어난 배포 오류를 fix 하는 것이었다. 처음에는 @types/react-helmet-async 이라는 라이브러리의 Helmet, HelmetProvider 컴포넌트에서 타입 에러가, @mui/x-date-pickers 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에러가 발생했고, 이 부분들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 react 를 업그레이드하고, @mui/material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했다. 그런데 여기서, @mui/material 패키지를 추가하자, PeerDependency 에러가 발생했다. PeerDependency..? Peer = 또래 Dependency = package.json 에 있는, 의존성을 관리하는 부분인가? 하는 생각이 .. 2024. 9. 9. 이전 1 2 3 4 ··· 54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