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460 2025.10.29 업무 일지 1. 오늘 어려웠던 것 사용자 입력에 따라 높이 조절 되는 textArea 만들기 useEffect 의 실행 시점, state 의 Batch 업데이트. DOM 조작과 state 의 다른 점. useEffect 의 실행 시점은 모든 batch state 의 업데이트 후, 리액트가 DOM에 변경사항을 모두 반영한 후이다. 그니까 React 의 탈출구이다. State 는 동기적으로, 하나 업데이트되고 DOM에 반영되고 그 다음 업데이트되고가 아니다. 함수 단위로 하나로 모아서 예약을 걸고, 한 번에 업데이트된다. 따라서 같은 setState 를 연달아 두 번 같은 함수 내에서 쓰게 된다면, 맨 마지막에 쓴 값 하나만 반영된다. 아는 것(외운 것)과 써먹을 수 있는 것의 구분. 직접 만들어보고, 비유와 예.. 2025. 10. 29. 2025.10.28 업무일지 1. 오늘 내가 한 것 cursor 커스텀 룰 설정프로젝트 설치. backend, frontend 의존성 설치 컴포넌트 구조 파악 2. 어려웠던 것/예상과 달랐던 것 pnpm workspace 라는 게 있는 줄 몰랐다. pnpm 의 node_modules 경량화를 시키는 방법 pnpm workspace 와 src/frontend src/backend 구조의 차이점 2025. 10. 28. 백준 9252 파이썬 python 재귀 풀이 백준 9252번을 탑다운 방식(재귀) 로 풀어봤습니다. findAnswer 함수에서 return 문의 위치를 처음에 if 문 안에 잘못 써서 디버깅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. (vscode 복사 붙여넣기 과정에서 잘못됨) AI 에게 물어봐도 바텀업 방식(반복문) 만 알려주고 블로그에도 재귀 풀이는 보이지 않아, 재귀 풀이를 업로드 합니다!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sys.setrecursionlimit(10**6)first = input().strip()second = input().strip() dp = [[] for i in range(len(first))]for i in range(len(first)): for j in range(len(second).. 2025. 8. 2. 백준 17141 파이썬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input = sys.stdin.readline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matrix = [[] for _ in range(N)]visited = [[] for _ in range(N)]for i in range(N): row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matrix[i] = row visited[i] = [False for _ in range(N)]possible = []dx = [1,-1,0,0]dy = [0,0,1,-1]for i in range(N): for j in range(N).. 2025. 7. 16. 백준 13398 연속합2 파이썬 Python py (재귀 풀이) 13398번 풀이를 블로그에 찾아보니, 대부분 반복문 DP 풀이만 나오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재귀 DP 가 더 편해서 재귀로 풀어 보았다. import syssys.setrecursionlimit(10**6)N = int(input())arr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dp = [[float('-inf')] * 2 for _ in range(len(arr))]def solve(i, c): if dp[i][c] != float('-inf'): return dp[i][c] if i == 0: if c == 0: dp[i][c] = arr[i] return dp[i][c] else: .. 2025. 7. 3. 복잡한 정산을 쉽고 효율적으로 하는 법을 생각해 보았다!(feat. 바보짓) 정말 오랜만의 블로그 글이다..! 오늘은 친구 생일 파티에서 생긴 소동(?) 에 대해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.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. "나", "A", "B" 가 "루피" 의 생일파티에 줄 선물과 케이크를 샀다. 이때 케이크는 B 가 18000원을 주고 구매했고,나는 선물을 40176원을 주고 구매했다. 그럼 각자가 부담해야할 총액은 (18000 + 40176) / 3 = 19392원 이 된다. 그런데 B 가 실수로, 나에게 19392원을 송금해버렸다. B 에게 다시 19392원을 돌려주고 다시 계산하는 방법도 있었으나,나는 한 가지 독특한 방법을 제안한다. 내가 B 에게 18000원을 송금함으로써, 내가 케이크를 구매한 것으로 간주하고, A와 B에게 19392원을 받는다는 방법이었다. 그런데 .. 2025. 5. 23. 이전 1 2 3 4 ··· 77 다음